Computer Science/운영체제2 [운영체제] - 컨텍스트 스위칭(Context Switching) ✅ 컨텍스트 스위칭 (Context Switching) 이란? ▪ 여러개의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을 때, 기존에 실행되던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다른 프로세스로 CPU에 실행할 프로세스를 교체하는 기술 ☑ 컨텍스트 ▪ CPU가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해당 프로세스의 정보를 의미한다. ▪ 위의 정보들은 뒤에 설명할 PCB(Process Control Block)에 저장된다. ☑ 프로세스의 동작 ▪ Program Counter, Stack Pointer 를 가지고 동작한다. ▪ Program Counter - 다음에 실행할 코드의 주소를 담고 있다. ▪ Stack Pointer - 호출된 함수와 변수들의 주소를 갖고 있다. 현재 프로세스의 PC와 SP 주소를 PCB(Process Control B.. 2024. 1. 18. [운영체제] - 프로세스 메모리 구조(코드, 데이터, 힙, 스택) 💁♀️ 변수, 객체, 메모리의 관계를 알아야 하는 이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객체를 포함하여 데이터가 메모리에 어떻게 저장되는지 알면 개발 시 이해도가 높아지고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에 대해서도 연관지어 생각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. ✅ 프로세스란? ▪ 프로세스(process)란 실행중에 있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. ☑ 프로그램의 실행이란? ▪ 파일 시스템에 존재하던 실행 파일(중 일부가)에 메모리에 적재된다는 의미 ▪ 프로그램이 CPU를 할당받고 명령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 ☑ 프로세스의 특징 ▪ 프로세스는 운영체제에 의해 관리된다. ▪ 프로세스는 각 메모리 공간을 시스템으로 부터 할당 받으며, 독립적으로 실행된다. ✅ 프로세스의 메모리 구조 (프로세스 당 하나씩 존재) ▪ 시스템이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,.. 2024. 1. 15. 이전 1 다음